핫봇
핫봇(HotBot)은 핫봇 리미티드(HotBot Limited)가 소유한 캐나다의 웹 검색 엔진으로, 주요 대표는 크리스틴 리처드슨이다. 이 검색 엔진은 1996년 와이어드 매거진을 통해 북아메리카에서 처음 출시되었다. 1990년대에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검색 엔진 중 하나였다. 2016년에 도메인이 매각되었고, 이후 수년간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. 핫봇 검색 엔진은 2022년 새로운 소유주와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재출시되었다.[1]
역사
[편집]핫봇은 1996년 5월 와이어드의 온라인 사업부 핫와이어드(HotWired)에서 잉크토미(Inktomi)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도구로 출시되었다. 이 검색 엔진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학생들이 설립한 4개월 된 스타트업 잉크토미와 공동 개발되었다.[2] 핫봇은 "새로운 링크"라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여 출시되었으며, 알타비스타[3]와 같은 경쟁사보다 더 자주 전체 웹을 매주 색인한다고 주장했다. 또한 웹사이트에서는 5,400만 개의 문서를 보유한 "온라인에서 가장 완벽한 웹 색인"이라고 홍보했다.[4] 화려한 인터페이스와 인상적인 기능(예: 입력한 단어 또는 전체 구문으로 검색 가능)은 호평과 인기를 얻었다.[5]
디렉토리 검색 결과는 처음에는 룩스마트(LookSmart)에서 제공되었고, 1999년 중반부터는 DMOZ에서 제공되었다.[6] 핫봇은 1999년 2월부터 다이렉트 히트 테크놀로지스(Direct Hit Technologies)의 검색 데이터도 사용했는데[7], 다이렉트 히트 테크놀로지스는 클릭률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과를 조작하는 도구였다. 매주 1천만 개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할 수 있는 잉크토미의 스마트 크롤(Smart Crawl) 기술은 1997년 3월 핫봇에 통합되었다.[8] 핫봇은 1998년 기준 웹 트래픽 기준으로 19번째로 많이 방문한 웹사이트였다.[9]
라이코스(Lycos)는 1998년 10월 와이어드(Wired) 인수의 일환으로 핫봇을 인수했으며, 라이코스의 기존 검색 엔진과 함께 별도로 운영되었다. 이후 핫봇은 개발이 부진하고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. 핫봇과 다른 와이어드 및 라이코스 링크를 통합한 핫봇 네오플래닛(HotBot NeoPlanet) 브라우저도 출시되었다. 2002년 말, 핫봇은 다중 검색 도구로 재출시되어 사용자에게 FAST, 구글, 잉크토미(Inktomi), 테오마(Teoma) 데이터베이스 중 원하는 검색 옵션을 제공했다.[10][11]
2004년 3월, 라이코스는 무료 툴바 검색 제품인 라이코스 핫봇 데스크톱(Lycos HotBot Desktop)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. 라이코스 측은 이 제품이 "기존 데스크톱 검색과 브라우저 내 웹 검색을 통합한 최초의 제품"이라고 설명했다. 핫봇 데스크톱은 잉크토미,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(Microsoft Outlook) 또는 아웃룩 익스프레스(Outlook Express)의 이메일 폴더, 그리고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된 사용자 문서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었다. 또한 팝업 광고 차단 기능과 RSS 뉴스 리더 신디케이션 기능도 탑재했다. 이메일과 사용자 파일을 추적하기 위해 생성된 인덱스는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로컬에 저장되었다. 여러 유형의 인터넷 검색 결과를 볼 때 텍스트 기반 광고가 표시되었다. 라이코스는 로컬 검색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dtSearch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.[12]
2011년 7월, 핫봇은 새로운 로봇 마스코트, 새로운 로고, 그리고 현대적인 사이트 디자인으로 재출시되었다. 베타 버전에서 핫봇은 웹 검색 결과뿐만 아니라 뉴스, 쇼핑, 웨더 좀비(Weather Zombie) 등 다양한 라이코스 웹사이트의 검색 결과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로 거듭났다. 포털 인터페이스는 약 6개월 동안 유지되었으며, 이러한 기능들은 2012년 라이코스 웹사이트 개편에 다시 통합되어 핫봇의 검색 인터페이스가 간소화되었다.
도메인 이름 판매
[편집]2016년 10월, 라이코스는 Hotbot.com 도메인 네임을 익명의 구매자에게 15만 5천 달러에 판매했다.[13] 이후 핫봇 도메인은 관련 없는 쇼핑 검색 사이트의 본거지가 되었고, 20년간 운영되어 온 핫봇 도메인의 역사는 끝났다.
2018년 4월, 해당 도메인은 새로운 소유주에게 넘어갔고, 관련 없는 개인정보 보호 중심 검색 엔진이 되었다.
2020년 현재, 핫봇 도메인은 세이셸에 본사를 둔 VPN 회사가 관리하고 있다.[14][15]
2023년, 앞서 언급한 VPN 회사는 1996년 핫봇 도메인의 원래 용도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공식적으로는 관련이 없는 AI 기반 웹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.[16]
각주
[편집]- ↑ “HotBot – Search Smarter”.
- ↑ “INKTOMI OFFERS PARALLEL PROCESSING-BASED NET SEARCH ENGINE”. 《Computer Business Review》. 1996년 6월 11일.
- ↑ Weise, Elizabeth (1996년 5월 19일). “New Search Tool Hits the Web”. 《Associated Press》.
- ↑ PC Mag, October 22, 1996, p. 48
- ↑ “Where Are They Now? Search Engines We've Known & Loved”. 《Search Engine Watch》 (미국 영어). 2003년 3월 4일.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.
- ↑ Search Engines for the World Wide Web by Alfred Glassbrenner, Emily Glassbrenner, p. 101
- ↑ Crum, Rex (1999년 3월 22일). “Direct Hit gets searches on target with HotBot”. 《American City Business Journals》.
- ↑ “Inktomi Powers Advanced Information Indexing”. 《tech-insider.org》.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.
- ↑ Bump, Philip (2010년 3월 23일). “Flashback From 1998: When Altavista, Lycos, And Blue Mountain Arts Ruled the Web”. 《www.themarysue.com》.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.
- ↑ “Search engine rankings on HotBot: a brief history of the HotBot search engine”. 《www.websearchworkshop.co.uk》.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.
- ↑ “The return of HotBot”. 《Geek.com》 (미국 영어). 2002년 12월 17일. 2019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.
- ↑ Quint, Barbara; Price, Gary (2004년 3월 22일). “Lycos HotBot Offers Free DeskTop Toolbar”. 《newsbreaks.infotoday.com》.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.
- ↑ ALLEMANN, ANDREW (2016년 10월 4일). “Lycos sells HotBot.com for $155,000”. Domain Name Wire.
- ↑ “HotBot VPN: Learn About Our Company and Policies”. 《HotBot VPN: Fast, Anonymous, Unlimited, VPN Service》. 2020년 2월 18일에 확인함.
- ↑ “Hot Bot Limited”. 《Dun & Bradstreet》. 2023년 8월 25일에 확인함.
- ↑ “HotBot - Search Smarter”. 2023년 6월 30일. 2023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.
외부 링크
[편집]- 핫봇 - 공식 웹사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