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P9
![]() | |
인터넷 미디어 타입 | video/VP9 |
---|---|
개발 | 구글 |
발표일 | 2013년 6월 17일 |
포맷 종류 | 압축 비디오 |
다음에 포함 | |
다음으로부터 확장 | VP8 |
다음으로 확장 | AV1 |
표준 | (Bitstream Specification) |
오픈 포맷? | 예 |
웹사이트 | webmproject.org/vp9 |
VP9 구글이 인수한 On2 테크놀로지스의 로열티 프리[1] 영상 코덱 중 하나이다.
VP9은 VP8의 후속 제품이며 주로 MPEG의 고효율 비디오 코딩(HEVC/H.265)과 경쟁한다. 처음에는 VP9이 주로 구글의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사용되었다.[2][3] Alliance for Open Media의 출현과 구글이 속해 있는 후속 AV1의 지속적인 개발에 대한 지원으로 인해 이 형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.
HEVC와 달리 VP9 지원은 최신 웹 브라우저에서 일반적이다. 안드로이드는 버전 4.4 킷캣부터 VP9를 지원했으며, iOS/iPadOS는 iOS/iPadOS 14에서 VP9에 대한 지원을 추가했다.
이 포맷의 일부는 구글이 보유한 특허로 보호된다. 회사는 상호주의에 기초하여, 즉 사용자가 특허 소송에 참여하지 않는 한, 자체 관련 특허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.
2013년 VP8이 포함되어 있는 WebM의 후속 동영상 압축 기술로 발표되었다. 비슷한 시기에 발표된 고효율 비디오 코딩과 비교하면, 화질은 다소 떨어지나 스트리밍 환경에는 더 안정적이다고 알려져 있다[4].
역사
[편집]VP9은 구글이 이를 제작한 On2 테크놀로지스와 함께 2010년에 1억 3,400만 달러에 구입한 트루모션 비디오 포맷 시리즈의 마지막 공식 버전이다. VP9의 개발은 NGOV(Next Gen Open Video), VP-Next라는 개발명으로 2011년 하반기부터 시작됐다.[5][6][7] VP9의 설계 목표에는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유지하면서 VP8에 비해 비트 전송률을 50% 줄이고 MPEG 고효율 비디오 코딩(HEVC) 표준보다 더 나은 압축 효율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 포함되었다.[6][8] 2013년 6월 VP9의 "프로필 0"이 완성되었고 두 달 후 VP9 비디오 재생을 지원하는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가 출시되었다.[9][10] 그해 10월 네이티브 VP9 디코더가 FFmpeg에 추가되었고[11], 6주 후에는 Libav에도 추가되었다. 모질라는 2014년 3월에 파이어폭스에 VP9 지원을 추가했다.[12] 2014년에 구글은 두 개의 높은 비트 깊이 프로필인 프로필 2와 프로필 3을 추가했다.[13][14]
2013년에는 Opus 오디오와 함께 VP9을 지원하는 WebM 형식의 업데이트 버전이 출시되었다.
2013년 3월, MPEG 라이센스 관리국은 미국 법무부가 VP8이 경쟁을 부당하게 억압하기 위해 행동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시작한 후 VP8 및 그 후속 제품에 대한 분쟁된 특허 주장에 대한 주장을 철회했다.[15][16][17]
전체적으로 구글은 하드웨어 공급업체와 협력하여 VP9 지원을 실리콘에 적용했다. 2014년 1월 Ittiam은 ARM 및 구글과 협력하여 ARM Cortex 장치용 VP9 디코더를 시연했다. GPGPU 기술을 사용하여 디코더는 Arndale 보드에서 30fps에서 1080p를 지원했다.[18][19] 2015년 초 엔비디아는 Tegra X1 SoC에서 VP9 지원을 발표했으며 VeriSilicon은 Hantro G2v2 디코더 IP에서 VP9 프로파일 2 지원을 발표했다.[20][21][22]
2015년 4월 구글은 libvpx 라이브러리에 대한 중요한 업데이트를 출시했다. 버전 1.4.0에는 10비트 및 12비트 비트 심도, 4:2:2 및 4:4:4 크로마 서브샘플링, VP9 멀티스레드 디코딩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다.[23]
2015년 12월 넷플릭스는 MPEG 공통 암호화를 사용하여 MP4 컨테이너에 VP9 비디오를 포함하는 제안 초안을 발표했다.[24]
2016년 1월 Ittiam은 OpenCL 기반 VP9 인코더를 시연했다.[25] 이 인코더는 ARM Mali 모바일 GPU를 대상으로 하며 삼성 갤럭시 S6에서 시연되었다.
VP9 지원은 2016년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브라우저 엣지에 추가되었다.[26]
2017년 3월 Ittiam은 libvpx의 인코딩 속도를 향상시키는 프로젝트의 완료를 발표했다. 속도는 50~70% 향상되었으며 코드는 libvpx의 일부로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하다.[27]
기능
[편집]프로파일
[편집]- 프로파일 0: 색 심도: 8 bit/sample, chroma subsampling: 4:2:0
- 프로파일 1: 색 심도: 8 bit, chroma subsampling: 4:2:2, 4:4:0, 4:4:4
- 프로파일 2: 색 심도: 10–12 bit, chroma subsampling: 4:2:0
- 프로파일 3: 색 심도: 10–12 bit, chroma subsampling: 4:2:2, 4:4:0, 4:4:4[28]
레벨
[편집]VP9는 14개 레벨을 제공한다:[29]
레벨 |
Luma Samples/s | Luma Picture Size | Max Bitrate (Mbit/s) | Max CPB Size for Visual Layer (MBits) | Min Compression Ratio | Max Tiles | Min Alt-Ref Distance | Max Reference Frames | 해상도 @ 프레임레이트 예시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829440 | 36864 | 0.20 | 0.40 | 2 | 1 | 4 | 8 | 256×144@15 |
1.1 | 2764800 | 73728 | 0.80 | 1.0 | 2 | 1 | 4 | 8 | 384×192@30 |
2 | 4608000 | 122880 | 1.8 | 1.5 | 2 | 1 | 4 | 8 | 480×256@30 |
2.1 | 9216000 | 245760 | 3.6 | 2.8 | 2 | 2 | 4 | 8 | 640×384@30 |
3 | 20736000 | 552960 | 7.2 | 6.0 | 2 | 4 | 4 | 8 | 1080×512@30 |
3.1 | 36864000 | 983040 | 12 | 10 | 2 | 4 | 4 | 8 | 1280×768@30 |
4 | 83558400 | 2228224 | 18 | 16 | 4 | 4 | 4 | 8 | 2048×1088@30 |
4.1 | 160432128 | 2228224 | 30 | 18 | 4 | 4 | 5 | 6 | 2048×1088@60 |
5 | 311951360 | 8912896 | 60 | 36 | 6 | 8 | 6 | 4 | 4096×2176@30 |
5.1 | 588251136 | 8912896 | 120 | 46 | 8 | 8 | 10 | 4 | 4096×2176@60 |
5.2 | 1176502272 | 8912896 | 180 | TBD | 8 | 8 | 10 | 4 | 4096×2176@120 |
6 | 1176502272 | 35651584 | 180 | TBD | 8 | 16 | 10 | 4 | 8192×4352@30 |
6.1 | 2353004544 | 35651584 | 240 | TBD | 8 | 16 | 10 | 4 | 8192×4352@60 |
6.2 | 4706009088 | 35651584 | 480 | TBD | 8 | 16 | 10 | 4 | 8192×4352@120 |
같이 보기
[편집]각주
[편집]- ↑ Janko Roettgers (Gigaom), January 2, 2014: YouTube goes 4K, Google signs up long list of hardware partners for VP9 support 보관됨 2020-07-23 - 웨이백 머신
- ↑ Alex Converse (Google), 19 September 2015: New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under consideration for VP10 – presentation at the VideoLAN Dev Days 2015 in Paris
- ↑ Anja Schmoll-Trautmann (CNET), April 8, 2015: Youtube: Kompression mit Codec VP9 gestartet (german)
- ↑ “H.265 vs VP9: 4K video codecs explained”. 2016년 7월 26일에 확인함.
- ↑ “VP-Next Overview and Progress Update” (PDF). 《WebM Project》. 2021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 (PDF)에서 보존된 문서.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.
- ↑ 가 나 Adrian Grange. “Overview of VP-Next” (PDF).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. 2013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 (PDF)에서 보존된 문서.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.
- ↑ BoF meeting on the IETF85 conference in Atlanta, USA with a presentation on VP-Next. Audio recording 보관됨 2016-03-04 - 웨이백 머신 (MP3, ~60 MiB), Präsentationsfolien 보관됨 2013-07-25 - 웨이백 머신 (PDF, ~233 kiB)
- ↑ “Next Gen Open Video (NGOV) Requirements” (PDF). 《WebM Project》. 2013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 (PDF)에서 보존된 문서.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.
- ↑ Paul Wilkins (2013년 5월 8일). “VP9 Bitstream finalization update”. 《WebM Project》. 2021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3년 5월 17일에 확인함.
- ↑ “VP9 profile 0 release candidate”. 《Chromium (web browser)》. 2013년 6월 11일. 2023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3년 6월 19일에 확인함.
- ↑ “Native VP9 decoder is now in the Git master branch”. 《Launchpad》. 2013년 10월 3일. 2013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3년 12월 8일에 확인함.
- ↑ “Firefox Release 28.0”. Mozilla. 2014년 3월 18일. 2014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6년 6월 19일에 확인함.
new VP9 video decoding implemented
- ↑ “Update on WebM/VP9”. Google Developers. 2014년 6월 25일. 201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.
- ↑ “Remove experimental-bitstream flag for profiles>0”. 《Chromium (web browser)》. 2014년 10월 3일. 2023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5년 3월 2일에 확인함.
- ↑ Press release from 7 March 2013: Google and MPEG LA Announce Agreement Covering VP8 Video Format 보관됨 2022-01-24 - 웨이백 머신
- ↑ Thomas Catan (2011년 3월 4일). “Web Video Rivalry Sparks U.S. Probe”. 《The Wall Street Journal》. Dow Jones & Company, Inc. 2015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1년 12월 31일에 확인함.
- ↑ Cheng, Jacqui (2011년 3월 4일). “Report: DoJ looking into possible anti-WebM moves by MPEG LA”. 《Ars Technica》. Condé Nast Digital. 2011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1년 12월 31일에 확인함.
- ↑ “Ittiam and ARM are the first to efficiently bring Google's VP9 to mobile devices”. ARM Community. 2014년 1월 7일. 2014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3년 7월 4일에 확인함.
- ↑ “Ittiam's H.265 and VP9 Solutions to Have Widespread Coverage at CES 2014”. ARM Community. 2014년 1월 7일. 2014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3년 7월 4일에 확인함.
- ↑ “NVIDIA Tegra® X1”. nVIDIA. January 2015. 2015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6년 6월 19일에 확인함.
H.265, VP9 4K 60 fps Video
- ↑ Joshua Ho, Ryan Smith (AnandTech), January 5, 2015: NVIDIA Tegra X1 Preview & Architecture Analysis 보관됨 2015-01-05 - 웨이백 머신
- ↑ “VeriSilicon Introduces Hantro G2v2 Multi-format Decoder IP with VP9 Profile 2 to Support 10-bit Premium Internet Content”. Business Wire. 2015년 3월 2일.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5년 3월 2일에 확인함.
- ↑ Michael Larabel (2015년 4월 3일). “libvpx 1.4.0 Brings Faster VP9 Encode/Decode”. Phoronix. 2015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5년 4월 3일에 확인함.
- ↑ Jan Ozer (2016년 5월 24일). “Netflix Discusses VP9-Related Development Efforts”. streamingmedia.com. 2016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6년 6월 4일에 확인함.
- ↑ “A High Performance, OpenCL-Based VP9 Encoder”. phoronix.com. 2016년 1월 12일. 2016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6년 1월 12일에 확인함.
- ↑ Peter Bright (2016년 4월 18일). “Windows 10 Anniversary Update: Google's WebM and VP9 codecs coming to Edge”. Ars Technica. 2017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7년 6월 15일에 확인함.
- ↑ “Ittiam accelerates open source VP9 encoder in partnership with Netflix and Google”. 2017년 3월 31일. 2017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7년 4월 3일에 확인함.
- ↑ “VP9 Bitstream & Decoding Process Specification” (PDF). 2016년 3월 31일. 2016년 11월 9일에 확인함.
- ↑ “VP9 Levels and Decoder Testing”. 《The WebM Project》.